본문 바로가기
주식 용어

주식 공부 - 주가지수 옵션거래 이해하기

by qoranehd 2023. 5. 17.
반응형

지금부터 1. 주가지수옵션거래 개념, 2. 주가지수옵션거래 속성, 3. 주가지수옵션거래 투자 유의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주가지수옵션거래 개념

주가지수옵션거래옵션이란 말 그대로 무엇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자산을 사전에 정한 가격으로 지정된 날짜 또는 그 이전에 매수하거나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하며 옵션거래는 이러한 권리를 매매하는 거래를 말합니다. 금융시장에서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상품이나 유가증권 등의 기초자산을 살 수 있는 권리를 콜옵션, 기초자산을 팔 수 있는 권리를 풋옵션이라 합니다. 만약 KOSPI 200 지수를 매매 대상으로 하는 주가지수옵션시장에서 2023년 12월 물을 320포인트에 살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가정한다면, 이때 주가지수 옵션의 매매 대상이 되는 기초자산은 KOSPI 200 지수이고, 행사가격은 320포인트 옵션 만기는 12월인 콜옵션이 됩니다. 옵션거래에 있어 매매단위는 1 계약인데 주가지수 옵션거래에서 1 계약의 기본단위는 KOSPI 200을 기준으로 25만 원입니다. 또 가격의 표시는 프리미엄(포인트)으로 나타냅니다. 호가 가격 단위는 프리미엄 3 이상인 경우에는 0.05포인트, 프리미엄 3 미만인 경우에는 0.01포인트입니다. 결제월은 최근 연속 3개월(당, 익, 익익) 월 및 (3, 6, 9, 12) 월이며, 최종거래일은 각 결제월의 두 번째 목요일입니다.

2. 주가지수옵션거래 속성

향후 지수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는 투자가는 콜옵션을 매수하거나 풋옵션을 매도하는 거래를 하면 되고, 지수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투자가는 풋옵션을 사들이거나 콜옵션을 매도하면 됩니다. 이처럼 옵션은 선물처럼 장래 일정 시점에 특정 대상물을 사고판다는 점에서 선물과 유사한 개념입니다. 또한,선물과 마찬가지로 일일정산을 통해 매일매일 투자가의 이익과 손실을 계좌에 반영하고 만기나 매매 시 현금결제를 통해 계약 관계를 청산합니다. 그러나 선물의 경우 정해진 만기일에 자신에게 유리하든 그렇지 않든 선물 매수자는 선물을 매수해야 하고 매도자는 매도해야 하지만 옵션 매수자는 자신에게 유리하면 권리를 행사하고 이롭지 않으면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선택권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단, 권리를 갖는 대가로 그에 해당되는 일정액의 비용(Option Premium)을 옵션 매도자에게 지불해야 합니다.

3. 주가지수 옵션거래 투자 유의 사항

주식 보유자가 부담하는 리스크는 두 가지로 나뉘는데,첫 번째는 주식가격의 변동에 따른 것으로 금리 옵션에 의해 커버되며, 두 번째는 시장 전체의 주식가격 변동에 따른 것으로 주가 옵션에 의해 커버됩니다. 풋옵션(팔수 있는 권리)이든 콜옵션(살 수 있는 권리)이든 옵션을 사는 사람(옵션 매수자)은 대상 자산을 행사가격으로 팔거나 살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하게 되며 권리행사 여부는 옵션 매수자의 자유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옵션을 파는 사람 옵션 매도자는 매수자로부터 프리미엄 옵션가격을 받는 대신 기초자산을 행사가격에 팔 의무를 가지게 되며, 매수자의 요구가 있으면 즉시 권리행사에 따른 의무를 이행해야 합니다. 따라서 옵션 매수자의 경우에는 이미 지불한 프리미엄 수준으로 손실이 한정되지만 매도자의 경우에는 무제한적인 손실을 볼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