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가지수 선물거래 개념
선물거래란 특정 상품의 가격에 대해 미래 일정 시점의 가격을 미리 정해서 매매 계약을 맺은 후, 약속된 시점에서 대금과 상품을 교환하는 거래입니다. 이러한 선물거래는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현물의 가격변동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즉, 선물시장과 현물시장의 가격차를 이용해 차익을 남길 수 있고 미래의 주가를 예측할 수 있는 기준이 됩니다. 선물거래에는 콩, 옥수수, 감자, 금, 은, 원유 등을 거래하는 상품선물거래와 통화 선물, 금리 선물, 주가지수 선물을 거래하는 금융선물거래가 있습니다. 주가지수 선물거래는 증권시장의 주가지수를 매매 대상으로 하는 선물거래를 말합니다.
2. 주가지수 선물거래 세부사항
주가지수 선물거래란 KOSPI200 지수에 일정한 금액을 곱한 금액을 1개의 거래단위로 하여 사고파는 거래를 뜻합니다. 선물거래의 거래시간은 09:00~15:15(최종거래일 09:00~14:50)이고, 가격제한폭은 기준가격 대비 상하 30%입니다. KOSPI200 지수는 증권거래소(현 한국거래소)가 1990년 1월 3일을 기준시점으로 당시 지수를 100p로 삼아 산출하고 있습니다. 주가지수 선물거래의 대상이 되는 지수는 한국거래소가 선정한 'KOSPI200' 지수가 사용되고 있으며 3월 물, 6월 물, 9월 물, 12월 물 4 종목이 거래되고 있습니다. 즉, KOSPI200 선물거래의 결제월은(3, 6, 9, 12) 월이며 최종거래일은 각 결제월의 두 번째 목요일입니다. 새로운 결제월의 거래개시일은 그다음 날입니다. 1 계약의 기본단위는 25만 원이고, 호가 가격 단위는 0.05포인트이므로 최소가격변동금액은 1 만 2500원 (25만 원 * 0.05)입니다.
3. 주가지수 선물거래 투자 조건 및 유의사항
주가지수 선물거래는 개인이나 기업, 기관투자가 등 누구나 할 수 있으며 1500만 원의 최초 개시증거금을 증권사에 예치하면 원하는 종목의 주가지수 선물을 사고팔 수 있습니다. 선물 주문 시 선물 가격의 최소 15% 이상의 위탁 증거금 즉 현금이 필요합니다. 선물을 매수 또는 매도한 후 선물 평가 금액의 10% 이상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합니다. 선물은 현물과 달리 매일매일 시장이 끝나면 정산을 합니다. 따라서 선물의 평가 금액 10%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다음 날 12:00까지 15%가 되도록 추가 증거금을 입금하여야 합니다. 그때까지 입금을 못 할 경우에는 미결제 약정을 자동으로 반대 매매하여 청산하게 됩니다. 선물은 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예상이 적중하면 고수익을 올릴 수 있는 반면, 예상이 빗나갔을 경우는 투자손실이 크기 때문에 위험 관리에 특별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주식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공부 - 증자(유상증자/무상증자) 이해하기 (2) | 2023.05.18 |
---|---|
주식 공부 - 주가지수 옵션거래 이해하기 (0) | 2023.05.17 |
주식 공부 - 제3자배정 유상증자 이해하기 (0) | 2023.05.16 |
주식 공부 - 정리매매 이해하기 (0) | 2023.05.16 |
주식 공부 - 신용매매 이해하기 (1) | 2023.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