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용어

주식 공부 - 제3자배정 유상증자 이해하기

by qoranehd 2023. 5. 16.
반응형

1. 제3자배정유상증자 개념, 2. 제3자배정유상증자 절차, 3. 제3자배정유상증자 기업 투자 유의사항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제3자배정유상증자 개념

제3자배정유상증자는, 회사의 특정 연고자(투자자>,회사의 임원, 거래처, 거래은행)등에게 신주인수권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발행회사가 주주의 지분비율대로 신주를 배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인(제3자)에게신주인수권을 주어 증자신주를 인수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기업 입장에선 증자를 할 때 주간사를 따로 선정하지 않아도 되는 등 주식발행 절차가 간소한 데다 기존 대주주와 다수의 소액주주들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 공모에 비해 실권이 발생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편리한 자금조달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또한, 기존주주를 대상으로 한 유상증자가 실패할 염려가 있거나 경영권 또는 지분을 특정인에게 넘겨주려 할 때 사용됩니다.

2. 제3자배정유상증자 절차

제3자배정유상증자는 회사의 경영권 및 기존주주의 이해관계에 중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관에 특별히 정하거나 주주총회의 특별결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 등 엄격한 통제를 가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정관, 특별법, 주주총회의 특별결의 등에 신주인수권의 제한에 관한 사항과 특정한 제3자에게 신주인수권을 부여할 것을 규정하고 있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신주발행 시 기본적으로는 기존주주의 지분율대로 우선적으로 배정해야 하나, 특별법 또는 주주총회의 특별결의,현물출자, 출자전환 등에 의해 주주가 아닌 제3자에게 신주인수권을 배정할 수 있습니다.

3. 제3자배정유상증자 기업 투자 유의사항

제3자배정유상증자는 발행절차가 주주배정, 일반 공모 방식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비용, 소요기간 등이 상대적으로 적어 자금조달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제3제삼자배정유상증자의 원인이 되는 사업이 확실한 미래가치를 가지고, 기업의 장기전략과 맞아떨어질 경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코스피나,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이 제3자배정유상증자에 나설 경우 어떤 투자자가 들어오는지에 따라 주식 가치에 중요한 영향을 받습니다. 시장을 선도할 부품 생산을 목표로 하는 회사가 돈이 많은 기업에 제3자배정을 했다면 이는 주가를 수직 상승시키는 호재가 됩니다. 반면에성격이 불투명한 투자자가 관여를 했다면 이는 좋지 않은 신호로 해석됩니다. 제3자배정유상증자는 부실기업들이 증권시장에서 퇴출당하는 것을 임시적으로 피하거나, 경영권 인수자금 조달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문제점등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투자 시에는 이러한 점들을 잘 살펴봐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