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투자 원칙

주식 공부 - ROE 이해하기

by qoranehd 2023. 5. 30.
반응형

1. ROE 개념

ROE는 (당기 순이익 자기 자본)*100의 공식으로 산출되고 기업이 투자자본 대비 돈을 얼마나 잘 버는 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어떤 기업의 ROE가 40%라면 이 기업이 100억을 투자를 해서 1년간 40억을 벌어 들였단 말이고, ROE가 4%라면 4억을 벌어 덜였단 말입니다. 똑같은 투자 자본으로 벌어 들이는 수익금 40억과 4억은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ROE는 증권사 홈페이지나, 인터넷 증권 홈페이지 재무제표를 보면 손쉽세 파악을 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ROE는 이렇게 우리가 직접적으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지표고, 조금만 더 노력을 해서 고 ROE종목을 골라내서 투자를 한다면 고수익을 안겨다 줄 수 있는 지표입니다.

2. ROE가 높은 기업 특징

1. ROE가 높은 기업들은 누구나 알고 있는 미국의 전설적인 투자자 워런 버핏이 "ROE 15% 이상인 기업에 장기 투자를 한다"라고, 투자 철학으로 삼을 정도로 안정적인 투자 수익을 가져다줍니다. 2. ROE가 높은 기업들은 독보적인 기술력으로 시장을 선도를 하고 이에 머무르지 않고 투자 이익금으로 새로운 사업에 끊임없이 도전을 합니다. 삼성전자의 ROE가 12% 정도 되는데 삼정전자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3. 막대한 투자 이득금으로 매년 배당금이 꾸준히 오르고 배당금 규모도 점점 높아집니다. 주식 투자로 높은 주가 상승률과 더불어 배당금까지 챙길 수 있어니 일석 이조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3. ROE 주식 투자 유의사항

ROE지표는 단순히 기업이 투자 자본 대비 1년간 얼마의 당기 순이익을 발생시키는지만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회사의 총 주식수나 부채 비율과 상관없이 오로지 당기 순이익만을 수치화한 지표이기에 ROE 지표 하나만으로 기업을 평가하는 데는 상당한 무리가 있습니다. 벌어 들이는 돈이 많아도 총 발행 주식수가 많고 적음에 따라 PER이나 PBR도 영향을 밭을 수밖에 없고, 부채가 많다면 이익금으로 많은 부채상환 이자를 지급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보여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프랑스 화학회 사 듀퐁은 ROE를 순이익률, 자산 회전율, 재무 레버리지로 쪼개서 발표를 합니다. 순이익률은 순이익을 매룰로 나누는데, 순이익률이 높을수록 향후 투자와 배당여력이 상승합니다. 자산회전율은 매출을 총자산으로 나눈 수치인데 연매출 추정치가 필요하므로 추정치와 실제 수치 편차가 큰 편입니다. 재무레버리지는 총자산을 자기 자본으로 나눠서 계산하는데 여기서 자산은 자본과 부채의 합입니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고금리 상황에서 지나치게 높으면 재무 건전성을 흔들 수 있습니다. 이런 지표들도 재무제표상에 나와 있어니 참고해서 매매를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