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보조 지표(실전 매매)

주식 공부 - 변동성 보조 지표. 스톡 캐스틱(Stochastic) 이해하기

by qoranehd 2023. 6. 8.
반응형

오늘은 주식 보조 지표 스톡 캐스틱(Stochastic)을 1. 스토 캐스틱(Stochastics) 개념 2. 스톡 캐스틱(Stochastics) 매매기법 3. 스톡 캐스틱(Stochastics) 투자 유의 사항순서로 설명을 해 보겠습니다.

스톡 캐스틱(Stochastics) 그림

1. 스톡 캐스틱(Stochastics) 개념

Stochastics은 적용 기간에 움직인 가격 범위에서 오늘의 현재 주가가 과열권인지 침체권인지를 알려주는 지표로써, 과열권에서는 매도 신호를 알려주고 침체권에서는 매수 신호를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Stochastics은 변동성 지표로서 스톡 패스트(Stoc Fast) = (민감하고 빠른 선)와 스톡 슬로(Stoc Slow) = (둔하고 느린 선)로 나눌 수 있습니다, Stochastics은 % K 선과 % D 선을 사용하고 기준선 80 이상을 과열권, 기준선 20 이하를 침체권으로 설정을 하고 있습니다. 스톡 패스트(Stoc Fast)는 단기 매매에 유리하고 스톡 슬로(Stoc Slow)는 중기, 장기 매매 에에 적합한 지표입니다. 증권사 보조지표에서스톡 캐스틱 기간 설정을(5.3)으로 하면 단기 흐름을 파악하는데 유리하고, (10,6)으로 설정하면 중기 흐름을 파악하는데 유리하고, (20,12)로 설정하면 장기 흐름을 파악하는데 유리합니다. 주식은 이 세 가지 흐름을 모두 봐야 합니다.

2. 스톡 캐스틱(Stochastics) 매매 방법

현재 주가상으로 스톡 캐스틱 % K 지표 값이 기준선 80 이상에 위치할 때를 매도 시점으로, 스톡 캐스틱 % K 지표 값이 기준선 20 이하에 위치할 때를 매수 시점으로 인식합니다. 보다 안전한 방법으로 스톡 캐스틱 % K 선이 스톡 캐스틱 % D 선을 상향돌파할 때를 매수 시점으로, 스톡 캐스틱 % K 선이 스톡 캐스틱 % D 선을 하향돌파할 때를 매도 시점으로 인식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스톡 캐스틱 % K 선과 스톡 캐스틱 % D 선의 교차 시점을 매매에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스톡 캐스틱 % K 선이 기준선 20을 상향 돌파할 때를 매수 시점으로, 스톡 캐스틱 % K 선이 기준선 80을 하향 돌파할 때를 매도 시점으로 인식합니다. 이때 많은 눈속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스톡 캐스틱 % K값이 기준선 70 이상인 시점에서 스톡 캐스틱 % K 선이 스톡 캐스틱 % D 선을 하향 돌파 할 때를 매도 시점으로 하고, 스톡 캐스틱 % K값이 기준선 30 이하인 시점에서 스톡 캐스틱 % K 선이 스톡 캐스틱 % D선을 상향 돌파 할 때를 매수 시점으로 인식하면 됩니다.

3. 스톡 캐스틱(Stochastics) 투자 유의 사항

큰 폭의 주가 상승을 보이는 주식 종목은 스톡 캐스틱 % K값이 기준선 80 이상 과열권 위로 올라서서 한동안 내려오지를 않습니다. 이때는 계속 홀딩을 해서 수익을 극대화해야 합니다. 반대로, 주가가 하락 추세를 보이는 주식 종목은 스톡 캐스틱 % K값이 기준선 20 이상 침체권 아래로 내려서서 한동안 올라오지를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매수 타이밍을 최대한 미뤘다가 % K 선이 기준선 20을 상향돌파할 때를 매수 시점으로 잡아야 합니다. 그리고 주가와 Stochastic 값 사이의 Divergence를 이용한 매매도 가능합니다. 주가의 저점은 점점 낮아지는데, Stochastic 값의 저점이 점점 높아지면 추세의 상승 반전을 예상할 수 있고, 반대로, 주가의 고점은 점점 높아지는데, Stochastic 값의 고점이 점점 낮아지면 추세의 하락 반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