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보조 지표(실전 매매)

주식 공부 - 주식 보조지표 MACD 이해하기

by qoranehd 2023. 6. 10.
반응형

지금부터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and Divergence)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MACD 그림

1.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and Divergence) 지표 개념

MACD지표는 위에 보이는 그림에서 하단 그림을 지칭하고, MACD선(파랑선)과 MACD-Signal(검정선) 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MACD선 = 단기(12일) 지수이동평균 (빼기) 장기(26일) 지수이동평균을 의미하고, MACD-Signal선 = (9일)의 MACD 이동 평균을 의미하는데, (단기, 장기, Signal) 일 수는 유동적이지만 증권사에서는 일반적으로 앞에 나온 수치를 기본값으로 설정을 하고 있습니다. MACD지표는 단기지수이동 평균값과 장기지수이동 평균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가의 추세를 알려주는 기술적 지표입니다. MACD지표는 두 이동평균선"MACD선(파랑선)과 MACD-Signal(검정선)"선이 멀어지게 되면 다시 가까워지려고 하는 속성을 이용합니다. 두 개의 이동평균선의 차이가 제일 큰 시점을 찾아내는데 주력하는 기법으로써(Gerald Appel)이 만들어 냈습니다.

2.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and Divergence) 적용 방법

MACD적용방법은 1. MACD(파랑선) 선이 MACD-signal(검정선) 선을 상향 돌파할 때를 매수 시점으로, MACD(파랑선) 선이 MACD-signal(검정선) 선을 하향 돌파할 때를 매도 시점으로 인식합니다. 2.MACD지표 기준선이 0의 수치를 기준선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 MACD지표값이 0선을 상향돌파할 때를 매수 시점으로, MACD지표값이 0선을 하향돌파할 때를 매도 시점으로 인식합니다. 3. MACD지표는 시장의 과매도, 과매수를 이용한 분석도 가능합니다. MACD가 급격한 상승이나 하락을 보일 때는 시장가격이 지나치게 상승, 하락한 것으로 판단하여 가격도 곧 원래 자리로 되돌아올 확률이 높다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4. MACD(파랑선) 선과 MACD-signal(검정선) 선이 기준선 0선 위에서 서로 골든 크로스와 데드 크로스를 줄 때는, 상승 추세상의 눌림목 의미이기 때문에, 주가가 0선을 하회하지 않으면 적절히 대응을 하면서 홀딩전략을 유지해야 합니다.

3.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and Divergence) 지표의 장, 단점

1. MACD지표 기준선 0선 돌파는 선행성이 아니라, 약간은 후행성이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MACD지표 기준선 0선 돌파는 속임수가 적기 때문에 발목에 사서 어깨에 팔라는 주식 명언과 일치하는 지표입니다. 2. MACD(파랑선) 선과 MACD-signal(검정선) 선의 교차 신호는 빠른 매매신호이지만 가끔은 거짓 신호일 확률도 있습니다. 3. MACD지표는 비추세적(횡보국면) 일 때, 하락추세일 때는 적합하지가 않습니다. 그러므로 MACD지표는 MACD지표 중에 기준선 0선을 이용해서 MACD선(파랑선)이 기준선 0선을 통과해서 상승을 시작할 때 이용을 하고, 주가가 상승 최고 지점에서 하락을 할 때 MACD선(파랑선)이 MACD-signal(검정선) 선을 하향 돌파할 때에 이용을 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and Divergence) 에 대하여 알아 봤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