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부터 1. 골든크로스(Golden Cross)/데드크로스(Dead Cross) 개념, 2. 골든크로스(Golden Cross) , 3. 데드크로스(Dead Cross)에 대하여 설명을 해 보겠습니다.
1. 골든크로스(Golden Cross), 데드크로스(Dead Cross) 개념
모든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보유하고 있고 그 힘은 질량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데서 비롯된 그렌빌(J.E.Granville)의 이론입니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이동평균선은 장기일수록 그 질량이 크므로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기이동평균선과 같은 방향일 때는 추세가 강화되고, 서로 다를 때는 더욱 힘이 센 장기선의 방향으로 단기 선이 끌려가게 됩니다. 따라서 일봉에서 5일 이동평균선과 20일 이동평균선이 데드 크로스를 그리더라도 120일, 240일 이동평균선이 상승 추세를 계속하고 있다면 데드크로스는 오히려 매수 시점으로 보아야 합니다. 또한, 20일 이동평균선이 60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하는 골든크로스가 나타나더라도 중장기 선인 120일, 240일 이동평균선이 하락을 계속하고 있다면 매도 시점으로 보아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장기 이동평균선의 우상향 우하향 여부가 중요합니다.
2. 골든크로스(Golden Cross)
골든크로스는 주가나 거래량의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돌파해 올라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강력한 강세장으로 전환함을 나타내는 신호로 받아들여집니다. 보통 단기 골든크로스는 5일 이동평균선이 2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는 것을 말하며, 중기 골든크로스는 20일선과 60일선을, 장기 골든크로스는 60일선과 120일선 240일선 돌파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증권시장에서는 골든크로스 출현을 향후 장세의 상승 신호로 해석합니다. 하지만 단기 골든크로스만 가지고서는 상승 추세라고 해석하기에는 이르며, 보통 5일선과 20일선이 60일선을 뚫고 다시 120일선을 뚫으면 추세적 상승세로 해석합니다. 또, 골든크로스 발생 시 거래량이 많을수록 강세장으로의 전환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를 지닙니다.
3. 데드크로스(Dead Cross)
데드크로스는 주식시장에서 주가의 단기이동평균선이 중장기이동평균선을 아래로 뚫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단기이동평균선이 중장기이동평균선을 상향돌파하는 것을 말하는 골든크로스와는 정반대의 개념입니다. 통상 데드크로스가 발생하면 향후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주가가 약세시장으로의 강력한 전환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데드크로스 발생 시점을 전후해서는 일시적 상승세가 나타나는 경우도 아주 많습니다. 그러므로 추세선을 그어보고 지지선을 이탈하는지 지지를 하는지를 관찰한 후에 현실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간단하게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알아봤습니다. 투자자분들은. 당연히 데드크로스로 내려오는 종목보다는 골든크로스를 일으키면서 올라가는 종목을 매수하셔야 합니다. 그래야만 성공 투자자가 될 수 있습니다.
'주식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공부 - 공모주 이해하기 (0) | 2023.05.10 |
---|---|
주식 공부 - 공매도 이해하기 (0) | 2023.05.10 |
주식 공부 - 돌파갭,진행갭, 보통갭, 이탈갭 이해하기 (0) | 2023.05.10 |
주식 공부 - ROE란 무엇인가 (0) | 2023.05.10 |
주식 공부 - PCE 이해하기 (0) | 2023.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