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으로 배우는 사자성어

화무십일홍 권불십년, 역지사지 , 사소취대로 배우는 주식 공부

by qoranehd 2023. 5. 9.
반응형

1. 화무십일홍 권불십년(花無十日紅權不十年) = 고점 매도, 2. = 역지사지(易地思之) =종목 집착 금지, 3. 사소취대(捨小取大) = 단타 금지로 비유해서 사자 성어도 알고 주식도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1. 화무십일홍 권불십년(花無十日紅權不十年) = 고점 매도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은 열흘 동안 붉은 꽃은 없다는 뜻으로, 번성한 것은 반드시 쇠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른 말이며, 권불십년(權不十年)은 아무리 높은 권세를 가져도 십 년, 즉 영화는 일시적이어서 오랜 세월 동안 지속하지 않고. 언젠가는 무너지게 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주식도 살 때도 중요하지만 팔 때도 대단히 중요합니다. 주식은 반드시 상투가 있습니다. 단기 호재로 50~100% 이상 급등을 한 종목이 하락할 때는 급락을 합니다. 반드시 최소한 10일선 20일선의 지지선을 설정하고 지지선이 무너지면 신속하게 매도를 해야 합니다. 또한, 이미 급등한 종목에 뒤늦게 동참하는 것도 절대 하지 말아야 합니다.

2. 역지사지(易地思之) = 자기 판단 금지

역지사지(易地思之)는 역지 즉 개연에서 비롯된 말로 다른 사람의 처지에서 생각하라는 뜻이며, 과거에 { 맹자는 「치수에 성공한 우와 신농과 더불어 농업의 신인 후직, 공자의 제자인 안회는 모두 같은 길을 가는 사람으로 서로의 처지가 바뀌었더라도 모두 같게 행동했을 것」이라고 한다. 맹자는 안회도 태평성대에 살았다면 우 임금이나 후직처럼 행동했을 것이며, 우 임금과 후직도 난세에 살았다면 안회처럼 행동했을 것이라며 「처지가 바뀌면 모두 그러했을 것」이라는 뜻으로 역지 즉 개연(易地則皆然)이라고(易地則皆然) 한 것이다.}라는 데서 유래된 고사 성어입니다. 주식을 사고, 팔 때는 자기만의 주관이나 감정에서 벗어나 주가를 좀 더 냉철하게 볼 수 있어야 합니다. 파는 사람들은 외 팔까? 사는 사람들은 외살까?라는 의구심을 한 번 더 해보고 투자를 판단해야 합니다. 주식이 오를 때는 당연히 오를만한 이유가 있고, 주식이 떨어질 때도 당연히 떨어질 만한 이유가 있는 겁니다. 매일매일의 상승 하락에 겁먹지 말고, 종목 뉴스가 나오면 그 뉴스를 나만의 평가 기준으로 파악하지 말고 시장에서 다른 투자자들이 얼마만큼의 값어치를 매길지 항상 생각하면서 매매에 동참해야 합니다,

3. 사소취대(捨小取大) = 단타 금지

사소취대(捨小取大)는 작은 것을 버리고 큰 것을 취한다. 즉, 모든 것을 다 가지려는 욕심을 버리고 큰 목적을 위해서는 작은 욕심은 버려야 한다는 뜻입니다. 주로 눈앞에 있는 것만 생각하고 욕심을 부리는 소탐대실(小貪大失)과도 같은 말입니다. 주식은 본인이 생각하는 가격은 절대 오지 않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주식을 사고, 팔 때 1~2% 만 더 내리면 사고, 1~2% 만 더 오르면 판다고 외칠 게 아니라 분할매수/매도를 해서 적절하게 대응을 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큰 손실을 줄일 수도 있고 크게 갈 종목도 잡을 수가 있습니다. 또한, 초단타로 조금의 이익을 추구하지 마시고 단기, 중기, 장기 투자를 해서 안정적이고 보다 높은 수익을 가져가는 매매를 해야 합니다. "주식은 매일매일 매도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로 오래오래 가져가는 것이다"라는 명언이 있습니다. 이명언을 한 번 더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